16강이 핵심이네요 감사합니다.
시도×-->실패×-->humiliation× 곧, 시도×-->humiliation× 따라서 자존감은 우리가 되고자 하는 것과 하고자 하는 것에 따른다. 자존감은 실재와 가정된 잠재성(비실재)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. (주제문:자존감은~이다.) 주제문의 부연 문단:기대 수준^-->humiliation의 위험성^을 통해, 기대 수준 상승=비실재, 자부심humiliation임을 알 수 있겠다. 평범한 것(=실현적이고 실재적인 것)이 행복(자부심에서 오는 마음)의 가능성에 주요하다. 위 주제문은 자부심을 기르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한 힌트를 준다. 한가지는 더 많은 성취(=실현하는 것)를 하려고 노력하는 것. 다른 한가지는 얻으려는 욕구(=기대=아직 실현×=비실재)를 감소하는 것. 후자의 이점은 뭐뭐인 체하는 것(=비현실적인 것)을 포기하는 것이 그것이 충족되는 것(=현실화되는 것)만큼이나 축복이다. 부연 설명을 통해 자부심은 현실적인 것의 상승과 비현실적인 것의 하강에 따른 다는 것이 주제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겠다. 따라서 자존감은 성공(=실현된 것)이 증가하고 뭐인체 하는 것의 감소에 이해 커진다 어렵네요. 감사합니다.
놀랍습니다!!! 완죤 펜이되었어요! 정말 감사드려요!!
쉽게 이해가 되네요. 감사합니다!
멋지십니다.
감사합니다!